본문영역
파동응용연구센터
센터장 박상윤
소속 | 파동응용연구센터 |
---|---|
전공 | 물리학 |
연락처 | 031-888-9044 |
이메일 | yoonpark77@snu.ac.kr |
홈페이지 | wave.re.kr |
- 소개
- 파동응용연구센터는 유/무기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파동제어분야에 선도적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에너지, 차세대 반도체, 환경, 바이오 분야에 응용기술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하였습니다. 본 연구센터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 외 3개의 중대형 국가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3건의 국외과제 및 민간과제를 수행중입니다. 본 연구센터는 3개의 연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동제어 및 나노소재의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웨어러블소자, 에너지소자, 반도체소자 등의 응용기술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중입니다.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본 센터 출신의 연구진들이 3개의 기업체를 창업을 하였고, 향후 지속적으로 원천기술확보-상용화기술확보-기술창업으로 이루어지는 체계를 발전시키고자 합니다.
- 연구목표
- 유/무기 나노소재를 기반으로 파동제어분야에 선도적 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에너지, 차세대 반도체, 환경, 바이오 분야에 응용기술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이를 통해 사회적 기여와 더불어 산업기술의 진보를 달성하고자 합니다.
- 연구분야
- 1. 파동 융합기술 연구
소재 구조 및 물성 조절을 통해 파동 제어 기술을 확보하고,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의 융합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- 복사냉각 섬유 기반 열전지 개발
- 파장선택성 투과형 메타물질 개발
- 전자파 완전 흡수 메타물질 개발
- 증식블랑켓시험모듈 구조재료의 중성자조사결함 및 수소취화저감 연구
2. 나노-에너지/바이오 융합 연구
유/무기 나노소재 및 그래핀을 기반으로 에너지 및 반도체 소재/소자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- 고기능성 그래핀 섬유 소재 개발
- 고신축성/고이온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소재 및 전극 촉매 개발
- 폐자원 기반 실리콘옥시카바이드가 코팅된 실리콘 입자 전극 소재 개발
- rGO 부직포를 활용한 리튬금속전지용 분리막 개발
- 이온 기반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
3. 테라헤르츠 융합 연구
생물학적 시스템에서 물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고 피코초 영역대의 동역학을 이해하기 위해 펄스 및 연속 테라헤르츠 파를 사용하여 생체 분자, 세포 및 조직의 선택적 제어 방법을 제시하고 RF, 마이크로파, 밀리미터, 테라헤르츠 및 광파를 이용한 산업적 제품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
- 테라헤르츠파 유전분광학
- 생체 분자 수화 역학 연구
- 유전측정을 이용한 피부 수화 연구
- 고출력 테라헤르츠파 진공소자 개발
- 그래핀이용 냉음극 개발
- 테라헤르츠파 메타물질 연구
- 연구성과 및 기대효과
- 1. 테라헤르츠 융합 연구
- S. Kim & G. Park et. al., Full manipulation of transparency and absorption through direct tuning of dark modes in high-Q Fano metamaterials, Opt. Exp. 30 (3), 3443-3454 (2022). (IF : 3.894)
- S. M. Yum & G. Park et. al., Fingerprint ridges allow primates to regulate grip, PNAS, 117, 31665 (2020). (IF : 11.205)
- S. Kim & G. Park et. al., High‐Q Metallic Fano Metamaterial for Highly Efficient Cerenkov Lasing, Adv. Opt. Mater. 6 (12), 1800041 (2018). (IF : 7.430)
- H. Son & G. Park et. al., Improved thickness estimation of liquid water using Kramers–Kronig relations for determination of precise optical parameters in terahertz transmission spectroscopy, Opt. Express, 25, (4), 4509-4518 (2017). (IF : 3.561)
- I. Baek & G. Park et. al., Uniform high current and current density field emission from the chiseled edge of a vertically aligned graphene-based thin film, J. Electromagnet. Wave, 31 (18), 2064–2073 (2017). (IF : 0.91)
- K. Lee & G. Park et. al., Microwave Funneling through Sub-10 nm Nanogaps, ACS photonics, 3 (4), 537-542 (2016). (IF : 6.880)
2. 파동 융합기술 연구
- Y. J. Lee & S. Y. Park et al. Effects of boron nitride nanotube content on waterborne polyurethane-acrylate composite coating materials RSC Adv., 11, 12748 (2021) (IF: 3.245)
- Y. K. Choi & S. Y. Park et. Al., Metastructure-inspired ultraviolet and blue light filter, AIP Adv. 10, 105015 (2020). (IF: 1.579)
- T. K. Lim & S. Y. Park et. al., Pore Structure Analysis to Adsorb NOx Gas based on Porous Materials, J. Korean Phys. Soc. 77, 790 (2020). (IF: 0.535)
- Y. J. La & S. Y. Park et. al., Tunable Metamaterial Absorber Using Ferromagnetic Resonance, J. Korean Phys. Soc. 77, 1012 (2020). (IF: 0.535)
- T. K. Lim & S. Y. Park et. al., A-site Doping Effect of Multiferroic BiFeO3 Ceramics, J. Korean Phys. Soc. 77, 1021 (2020). (IF: 0.535)
- Y. J. La & S. Y. Park et. al., Metamaterial’s Acceptable Level of Wrecked Meta-pattern, J. Korean Phys. Soc. 77, 1016 (2020). (IF: 0.535)
- Y. J. Yoo & S. Y. Park et. al., Distance Effect of Heat Flux Based on Thermal Metamaterials, J. Korean Phys. Soc. 75 (12), 1028-1032 (2019). (IF : 0.493)
- Y. J. Yoo & S. Y. Park et. al., Heat flux effect of thermal metamaterials, AIP Adv. 8 (10), 105231 (2018). (IF : 1.579)
- J. Kim & S. Y. Park et al., PDMS-based Screw-wall Microfluidic Channel Forming a Turbulent Flow at Low Reynold Number, J. Korean Phys. Soc. 73, 60–64(2018). (IF : 0.418)
- Y. J. Yoo, et. al., Flexible perfect metamaterial absorbers for electromagnetic wave (review paper), J. Electromagnet. Wave. 31 (7), 663-715 (2017). (IF : 1.531)
- Y. J. Yoo & S. Y. Park et. al., Experimental realization of tunable metamaterial hyper-transmitter, Sci. Rep. 6, 33416 (2016). (IF : 4.122)
- Y. J. Yoo & S. Y. Park et. al., Metamaterial absorber for electromagnetic waves in periodic water droplets, Sci. Rep. 5, 14018 (2015). (IF : 4.122)
3. 나노-에너지/바이오 융합 연구
- C. S. Yeo & S. Y. Park et. al., Ultralong and Millimeter-Thick Graphene Oxide Supercapacitors with High Volumetric Capacitance, ACS Applied Energy Materials 4(8), 8059 (2021). (IF: 6.024)
- Y. J. Gong & S. Y. Park et. al., Nonwoven rGO Fiber‐Aramid Separator for High‐Speed Charging and Discharging of Li Metal Anode,, Adv. Energy Mater. 10 (27), 2001479 (2020). (IF: 25.245)
- S. M. Jeon & S. Y. Park et. al., Development of a wearable infrared shield based on a polyurethane–antimony tin oxide composite fiber, NPG Asia Mater. 12, 32 (2020). (IF: 8.131)
- Y. Ko & S. Y. Park et. al., Thermal effects of copper-graphene composite films in a human skin analogous for the application to clothing, Int. J. Cloth. Sci. Tech. 32(4), 601 (2020). (IF: 0.589)
- O. S. Jeon & S. Y. Park et. al., Proliferating nearby oxygen vacancies to Ni on ceria for enhanced dry reforming of methane, Appl. Catal. B. Under review (2020). (IF : 14.229)
- E. J. Yang, & S. Y. Park et. Al., Room temperature manufacturing photoluminescent graphene quantum dots based on Mxene, Carbon 167, 863 (2020). (IF: 8.821)
- Y. S. Choi & S. Y. Park et. al., Multifunctional reduced graphene oxide-CVD graphene core–shell fibers. Nanoscale, 11 (26), 12637-12642 (2019). (IF : 6.970)
- T. Q. Trung & S. Y. Park et al., A Stretchable Strain-Insensitive Temperature Sensor Based on Free-Standing Elastomeric Composite Fibers for On-Body Monitoring of Skin Temperature, ACS Appl. Mater. Interfaces, 11 (2), 2317-2327 (2019). (IF : 8.456)
- J. Ahan & S. Y. Park et al., Infrared Invisibility Cloak Based on Polyurethane–Tin Oxide Composite Microtubes, ACS Appl. Mater. Interfaces, 11 (15), 14296-14304 (2019). (IF : 8.456)
- W. Jeong & S. Y. Park et al., Self-Emitting Artificial Cilia Produced by Field Effect Spinning, ACS Appl. Mater. Interfaces, 11 (38), 35286-35293 (2019). (IF : 8.456)
- T. Lim & S. Y. Park et al., Human sweat monitoring using polymer-based fiber, Sci. Rep. 9, 17294 (2019). (IF : 4.122)
- N. Kim & S. Y. Park et al., Sensitivity and Stability Enhancement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ors based on a Large-Area Ag/MoS2 Substrate, Sensors, 19 (8), 1894 (2019). (IF : 3.031)
- Y. Heo & S. Y. Park et. al., Large‐Scale Conductive Yarns Based on Twistable Korean Traditional Paper (Hanji) for Supercapacitor Applications: Toward High‐Performance Paper Supercapacitors. Adv. Energy Mater. 8 (27), 1801854 (2018). (IF : 24.884)
- T. Q. Trung & S. Y. Park et. al., Freestanding, Fiber‐Based, Wearable Temperature Sensor with Tunable Thermal Index for Healthcare Monitoring. Adv. healthc. mater. 7 (12), 1800074 (2018). (IF : 6.270)
- Y. Kim & S. Y. Park et. al., Organic electrochemical transistor-based channel dimension-independent single-strand wearable sweat sensors, NPG Asia Mater. 10, 1086–1095 (2018). (IF : 9.157)
- C. S. Yeo & S. Y. Park et. al., Copper-embedded reduced graphene oxide fibers for multi-sensors. J. Mater. Chem. C., 5 (48), 12825-12832 (2017). (IF : 6.641)
- J. Lee & S. Y. Park et. al., Observation of a water droplet motion by using an oxide nanowire transistor covered by a nanofiber mesh. Nanotechnology, 27 (50), 505203 (2016). (IF : 3.399)
▶ 최근 주요 특허 및 저서
1. 테라헤르츠 융합 연구
- 박건식, 사토로프맛랍전, 홍동표, 텅스텐이 도핑된 산화 그래핀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, 이를 포함하는 전자 방출기. 2022. 등록
- 박건식, 사토로프맛랍전, 백인근, 사인파 모양의 도파관을 이용한 전자기파 상호작용 회로구조. 2018. 출원.
2. 파동 융합기술 연구
- 김태환, 이정헌, 전영표, 전이금속 디칼코겐 화합물 기반 광검출기 및 이의 제조 방법. 2021. 등록.
- 유영준, 자동차 레이더의 전자기파 투과 부재, 2019. 출원
- 유영준, 박상윤, 넓은 각도로 사물감지가 가능한 레이더 돔 전자파 메타소재. 2019. 출원.
- 박상윤, 유영준, 메타 원자를 포함하는 음향 메타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피커 모듈. 2019. 등록.
- 박상윤, 유영준, 메타 원자를 포함하는 음향 메타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음향 렌즈. 2018. 출원.
- Young Joon Yoo et. al., Metamaterials for Perfect Absorption, Springer (2017).
3. 나노-에너지/바이오 융합 연구
- 섬유 기반의 웨어러블 나노제너레이터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. 2022. 등록.
- 플로팅 공정을 이용한 나노제너레이터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나노제너레이터, 2022. 등록.
- 박상윤, 여창수, 조윤제, 조강래, 김현진, 임태경, 김혁준, 조상훈, 김연상, 신민균, 유지영, 주상현, 금속 나노입자가 함유된 그래핀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센서. 2020. 출원
- 박상윤, 양이주, 전옥성, BNNT 제조 방법. 2020. 출원
- 박상윤, 유영준, 양이주, 전옥성, BNNT 복합 섬유 제조 방법. 2020. 출원
- 박상윤, 신민균, 김혁준, 여창수, 조윤제, 조강래, 전계유도 습식 방사 공정을 이용한 그래핀산화물 섬유, 그래핀 섬유, 그래핀 또는 그래핀(산화물) 복합 섬유의 제조방법. 2018. 출원.
- 박상윤, 여창수, 양종욱, 조윤제, 조강래, 그래핀산화물 또는 그래핀산화물 복합소재의 표면에 금속을 패터닝하는 방법. 2018. 출원.
- 박상윤, 여창수, 조윤제, 조강래, 김현진, 임태경, 김혁준, 조상훈, 김연상, 신민균, 유지영, 주상현, 금속 나노입자가 함유된 그래핀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센서. 2019. 등록.
구성원 소개
직위 | 이름 | 전공 | 주요연구분야 | 이메일 |
---|---|---|---|---|
센터장 | 박상윤 | 물리학 | yoonpark77@snu.ac.kr | |
교수(서울대 물리학과) | 박건식 | 물리학 | gunsik@snu.ac.kr | |
실장 | 유영준 | 물리학 | 메타 물질 | youngjoonyoo@snu.ac.kr |
선임연구원 | 엄기훈 | 물리학 | 테라헤르츠 분광법 | eom293@snu.ac.kr |
선임연구원 | 김선명 | 물리학 | 펨토 기반 레이저 분광법 | rlatjsaud14@gmail.com |
선임연구원 | S. Matlabjon | 물리학 | 진공 전자소자 | sattorovmatlabjon@gmail.com |
선임연구원 | 신민균 | 의용생체공학 | 전기화학 | mkshin77@snu.ac.kr |
선임연구원 | 이상화 | 물리학 | 핵융합공학 | sanghwalee@snu.ac.kr |
선임연구원 | 전영표 | 전자공학 | 나노 전자소자 | jyp83e@snu.ac.kr |
선임연구원 | 나윤주 | 화학 | 고분자공학 | lanjoo@snu.ac.kr |
선임연구원 | 전옥성 | 화학공학 | 연료전지 | osjeon@snu.ac.kr |
선임연구원 | 방용빈 | 뇌신경공학 | 신경공학 | yongbin@snu.ac.kr |
선임연구원 | 홍동표 | 물리학 | 그래핀 | dove9245594@snu.ac.kr |
선임연구원 | 이세훈 | 화학공학 | 이차전지 | jonathansh19@snu.ac.kr |
연구원 | C. Kamlesh | 물리학 | 펨토 기반 레이저 분광법 | kkumar.ie11@gmail.com |
연구원 | 이용준 | 재료공학 | 복사냉각 | equalizer@snu.ac.kr |
연구원 | 송준용 | 고분자재료공학 | 고에터지 필터 | jysong807@naver.com |
연구원 | 이학지 | 생명공학 | 그래핀 산화물 | lhj6115@snu.ac.kr |
연구원 | 김태한 | 물리학 | 메타 물질 | thkim828@gmail.com |
연구원 | 박용열 | 기계공학 | 전기화학 | pyy5057@snu.ac.kr |
연구원 | 양현서 | 물리학 | 슈퍼 커패시터 | yhs122456@gmail.com |
연구원 | 이은정 | 전자공학 | 박막 제조 | leee13@snu.ac.kr |
연구인턴 | 고은서 | 화학공학 | 전기화학 촉매 | kes9931@naver.com |
연구인턴 | 이승혁 | 전자물리학 | 박막 증착 | lees9297@naver.com |
연구인턴 | 박은서 | 전자물리학 | 박막 증착 | enseo4883@naver.com |
연구인턴 | 장은영 | 전자물리학 | 소재 합성 | jyy7916@naver.com |
연구인턴 | 한소현 | 전자물리학 | 소재 합성 | s8942y@naver.com |
행정원 | 김진이 | 재료공학 | nalbaragi@snu.ac.kr |